본문 바로가기

한국사

1. 세계문화유산, 구석기

728x90

 

1.세계문화유산

 

석굴암, 불국사

해인사 장경판전 : 15C 건축물, 습도온도 자동조절

창덕궁 : 태종

종묘 : 왕 왕비 사당, 정면이 매우 길고 수평성 강조

수원화성 : 정조때 채제공이 감독, 정약용이 설계, 상업적 군사적 목전

경주 역사유적 지구 : 남산지구(포석정, 나정, 배동 석조여래 삼존 입상)

월성지구 (첨성대, 계림)

대릉원지구 (천마총)

황룡사지구 (분황사)

산성지구 (명활산성)

고인돌 유적 : 강화, 화순, 고창

조선왕릉 : 연산군 묘와 광해군 묘를 제외한 40기 등재

한국의 역사 마을 : 안동 하회마을, 경주 양동마을

남한산성 : 인조피난 병자호란 임시수도

2015년 등재 : 백제 역사 유적 지구

공주 : 공산성, 송산리 고분군 (무령왕릉)

부여 : 관북리 유적과 부소산성, 능산리 고분군, 정림사지 5층석탑, 나성(외곽산성)

익산 : 왕궁리 유적, 미륵사지

 

2. 세계 무형 유산(18)

종묘제례 종묘제례악(아악)

판소리(신채효정리)

강강술래

남사당놀이

영산재

처용무

제주 칠머리당 영등굿

강릉 단오제

가곡

대목장(한옥장인)

매사냥(다국가공동등재유산)

줄타기

택견

한산 모시짜기

아리랑

김장문화

농악

줄다리기 (2015년)

 

가곡

강강술래

강릉 단오제

김장문화

 

농악

남사당놀이

 

대목장-한옥장인

매사냥

아리랑

영산재

 

줄타기

줄다리기

종묘제레

재주 칠머리당 영등굿

 

처용무

판소리

택견

한산 모시짜기

가곡

강강술래

농악

남사당놀이

줄타기

아리랑

처용무

판소리

 

종료제레

강릉 단오제

영산재

제주 칠머리당 영등굿

 

매사냥

택견

줄다리기

 

김장

한산 모시짜기

대목장

 

 

3. 기록유산

 

난중일기

조선왕조실록 : 태조~철종, 편년체, 사초 승정원일기 의정부등록 시정기 등을 기초로 작성

직지심체요절 : 우왕때, 청주흥덕사에서 금속활자로 인쇄 (1377, 세계최고), 백운화상 저술

구한말 주한프랑스공사 플랑시 수집 ->현재 파리국립도서관에 보관

승정원일기 : 세계 최대 연대 기록물, 임진왜란으로 소실->현존 1623~1894=인조~고종)

새마을 운동기록물

의궤 : 조선시대 황실이나 국가주요행사 기록->임진왜란 이후것만 현존(화성성역의궤 포함)

->병인양요 프랑스가 약탈 ->2011년 반환

일성록 : 영조때 정조가 존현각일기를 시작으로 1910년까지 기록한 국왕의 일기

5.18 민주화 운동기록물

훈민정음 : 간송 미술관 소재(전형필), 훈민정음예의본 +훈민정음해례본(글자뜻과 사용법)

한국의 유교책판/ 이산가족을 찾습니다 기록물 (2015년 등재)

 

순서

1997 훈민정음 : 훈민정음예의본 + 훈민정음해례본

1997 조선왕조실록 : 태조~철종 편년체

2001 직지심체요절 : 고려 우왕때, 선의요체를 깨닫는데 필요한 내용

2001 승정원일기 : 3243책

2001 동의보감 : 광해군2년, 허준(1601), 25권

2007 조선왕조 의궤 : 왕실 주요행사 건축물공사 그림자료 3895여 권

2007 해인사 대장경판 제경판 : 세계에서 가장 오래되고 정확한 불교 대장경판

2011 일성록

2011 5.18 민주와 운동 기록물

2013 난중일기

2013 새마을 운동 기록물

2015 한국의 유교책판

이산가족을 찾습니다 기록물

 

 

4. 역사의 의미

사실로서의 의미(랑케) : 과거에 있던 사실, 객관적, 불변, 실증주의적 사관,

역사가는 자기 자신을 죽이고 오직 사실만 말한다

기록으로서의 의미 (크로체, 콜링우드, e.h.carr) : 조사기록, 주관적, 가변적, 상대주의적 사관,

역사를 학습한다.

카 : 역사가는 자신의 생각으로 자신의 사실을 만든다

크로체 : 모든 역사는 현재의 역사이다

콜링우드 : 역사를 추구하는 것은 사상의 과정이며 모든 역사는 사상의 역사이다

삼국지 동이전 : 중국입장에서 서술, 부여를 좋고 고구려를 나쁘게 기록, 주관적.

 

5. 한국사

보편성 : 선사시대 구석시 신석기 청동기 유교불교

특수성 : 호국불교, 두레, 향도, 충효중시

 

 

1. 선사시대

< 사회 >

구석기 : 수렵 채집-> 이동경제 불사용

신석기 : 농경 목축-> 정착생활 (강가바닷가)

청동기 : 밭농사에서-> 벼농사로

철기

 

< 석기 >

구석기 뗀석기(주먹도끼, 찍개, 팔매돌, 슴베찌르기/ 긁개 밀개)

신석기 간석기 (돌돌돌, 농경굴지구, 갈돌갈판, 흑요석기/ 뼈바늘, 가락바퀴)

청동기 간석기(반달돌칼, 바퀴날 도끼, 홈자귀, 청동기 농기구, 간돌검)

철기 청동(세형동검, 잔무늬 거울, 거푸집)

 

< 토기 >

구석기

신석기 토기: 이른민무늬(최초), 덧무늬, 눌러찍기(압인문), 빗살무늬(음식물저장)

청동기 토기 : 민무늬 ,덧띠새김, 붉은간, 미송리식, 부여 송국리식,

철기 토기 : 민무늬, 덧띠, 검은간

 

< 주거 >

구석기 주거 : 동굴 , 바위그늘, 강가의 막집

신석기 주거 : 움집 모서리가 둥근, 화덕이 중앙, 저장구멍

청동기 주거 : 움집 모서리가 직각, 화덕이 구석, 저장구멍, 주춧돌 사용, 대규모집터, 창고 공동작업장 집회소등

환호(도랑), 울타리 두름(방어용), 배산임수(구릉지) 지형에 형성

ex) 부여 송국리, 울산 검단리 유적

철기 주거 : 지상식 주거 일반화, 부뚜막(온돌)등장 ex)하남 미사리 유적

 

< 예술 >

구석기 : 고래와 물고기를 새긴 뼛조각 예술 ex) 공주석장리, 단양수양개

신석기 : 원시신앙 애니머즘 토테미즘 샤머니즘 영혼조상숭배

씨족중심부족(족외혼), 평등사회, 수공업시작

청동기 : 부계사회 /선민사상(하늘의 자손)

사유재산발생->계급발생->고인돌 (강화, 화순, 고창)/북방식(탁자식), 남방식(바둑판식)

바위그림 : 울주반구대->동물 그림. 사냥의 성공 수확기원

고령양전동->기하학. 동심원은 태양. 제사터 의미

울주천전리->기하학

철기 : 중국과 교역-> 명도전(연,제,조)

반량전(진)

오수전(한)

붓(한자사용증거) ex)창원다호리

 

728x90

'한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5.고대사회  (0) 2020.10.26
4. 통일신라 , 발해  (0) 2020.10.26
3.1 삼국시대  (0) 2020.10.26
3. 삼국시대  (0) 2020.10.26
2. 단군왕검, 부여  (0) 2020.10.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