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고구려 |
백제 |
신라 |
가야 |
|
|
|
졸본, 주몽 국내성, 유리왕 부여유민 +압록강 톡착 삼론종 |
위례성, 온조 고구려유민 + 한강토착 율종 (겸익) |
진한의 사로국이 성장 석탈해 + 경주민 업설과 미륵신앙(화랑) 통일신라 원효, 의상 (정치가) |
변한12개국->6가야연맹 |
|
1 |
|
태조왕 계루부 고씨 왕위세습 5부체제 현도군,요동군 공격 옥저복속 |
|
|
|
|
2 |
후한 |
고국천왕 부자상속 행정적 5부 개편 진대법(을파소) |
|
|
|
|
3 |
위촉오 |
동천왕 서안평 공격 위의 관구검 침입 환도성 함락(244)
중천왕 관나부인 |
고이왕 관제정비(6좌평, 16관등) 공복제정(자,비,청) 율령반포 한강유역 완전장악 목지국 병합 |
|
전기가야(3c) 금관가야(김해) 김수로 (뇌질청예, 구지가) 철생산 (철화폐 : 덩이쇠) 벼농사 발달 중계무역(낙랑-왜) |
|
4 |
진 5호16국-북조 동진-남조 |
미천왕 서안평 점령 낙랑군, 대방군 축출
고국원왕 전연의 침입 백제 근초고왕 침입->사망
소수림왕 (백제보다10년빠름) 불교수용(372) 율령반포 태학설립 |
근초고왕 가야 지배권 행사->가야약화 요서, 산둥, 규슈 진출 마한 병합 평양성 공격 고구려와 대결(황해도)->고국원왕 사망 (사유가 유시에 맞아 숨짐) 동진과 수교 칠지도 (근구수 왕자) 부자 상속
침류왕 불교수용(384) |
|
후기가야 (5c) 대가야(고령) 이진아시왕(뇌질주일) 결혼동맹 (522) -> 이뇌왕+ 법흥왕때 비조부의 누이
유적지 김해 대성동, 부산 복천동, 고령 지산동 |
|
내물 마립간 김씨 왕위세습->형제상속 이사금(연장자)->마립간(대장수) 광개토대왕의 왜구격퇴 400 (광개토 대왕릉비문에 기록 호우명 그릇, 415, 장수왕) 임나가라 종발성까지 쫒아감 |
가야중심이동 금관가야->대가야 |
|||||
5 |
수 |
광개토대왕 (391~412) 영락 동부여(동예)복속 후연격파->요동진출 백제(아신왕)공격->한강이북 진출 신라지원->왜격파, 전기가야연맹해체 숙신,거란정벌->만주진출 신라 원병 ->호우명그릇 가야 중심이동 금관가야->대가야
장수왕 평양천도(427) 남하정책 한성함락(개로왕=부여경 전사, 아차산성) 흥한령 지두 분할 점령 북위와 외교적 갈등(풍훙) 남북조와 각각 교류
비석: 만주 광개토대왕비 (임나일본부설) : 건국설화, 업적, 수묘인 (왕의 위무가 사해에 떨쳤다) 충주 중원고구려비(한강진출) 중령~남양만 : 동이매금,신라에 의복하사,고구려가 상국 |
비유왕 나제동맹(433)
개로왕 북위에 국서보냄-> 아차산성에서 사망 (위례성 함락)<-장수왕 문주왕 웅진천도(475)
동성왕 신라결혼동맹(493) (소지왕 , 이벌찬딸) 탐라국 복속 (498)
|
|||
눌지 마립간 나제동맹(433) 부자상속 묵호자 불교전래
소지 마립간 우역 설치 시장 개설 결혼 동맹(이벌찬딸, 493) 행정 구역(6촌->6부) |
||||||
6 |
당 |
문자왕 부여정복(494)->영토최대
영양왕 590 온달전사, 혜자 파견 598 여수전쟁(선제)vs 수문제반격 600 <신집>이문집 610 일본에 담징 파견 612 살수대첩 vs 수양제침입(612,을지문덕, 청천강)
|
무령왕 22담로설치: 지방에 왕족파견 양과 수교 단양이, 고안무(일본) 가야지역 진출 양직공도
무령왕릉: 양나라 영향받은 벽돌무덤 도굴X 벽화X 벽돌무늬O 지석 : “영동대장군백제사마왕”, 도교, 관이 일본산금강산, 진묘수 발견
성왕 국호: 남부여 사비천도 중앙 22부 수도 5부 지방 5방 정비 미륵 자처 (불교진흥) 노리사치계 불교 전파 남조와 교류 한강상실(나제동맹결렬) 관산성 전투(544)
|
지증왕 사로국->신라 마립간->왕(중국식) “한화정책” 우산국 복속(이사부) 우경 실시(502) 동시전 설치 최초 지방관(군주) 파견(이사부) 순장금지(노동력)
포항 중성리 신라비(501) 영일 냉수리 신라비(503) :지증왕=갈문왕, 신라=사라
법흥왕(건원) 율령반포 불교공인(이차돈순교, 527)) 상대등, 병부 설치 공복제정(자비청황) 골품제정비 금관가야복속(532) :김구해가항복 울진 봉평 신라비(524) ->율령반포, 범죄자처벌, 동해안 북쪽 진출 내용 연호가 마지막 업적)
진흥왕(개국->대창->홍제) 중과 직교역 : 당항성 화랑 (계층갈등완화,씨족사회) 혜랑승려 ->국통, 불교정비 국사(거칠부) 편찬 황룡사 건립 품주설치 (재정)
551 단양 적성비 : 원주민도움 553 나제동맹결렬 : 신주설치 554 진흥왕 순수비 555 북한산비 : 한강유역장악 561 창녕비 562 대가야 복속 : 이사부+사다함 568 황초령비,마운령비 : 함경도진출 |
법흥왕: 금관가야복속 진흥왕: 대가야복속 |
|
7 |
|
영류왕 천리장성 축조(연개소문) (부여성~비사성) (618) 연개소문 쿠테타 영류왕 사망(642)
보장왕 영류왕사망->보장왕추대 스스로(대막리지)(642) 안시성전투vs당태종침입(645, 양만춘+연개소문) |
무왕 익산 천도시도(왕궁리 유적), 미륵사 건립
의자왕(행동증자) 백제신라 대야성 전투 ->백제승리 (642) 고구려와 연합 백제멸망vs 무열왕 김춘추 |
진평왕(건복) 위화부 설치 원광의 세속5계, 수나라 걸사표(611) 비석 : 남산산성비(궁궐 노동력기록)
선덕여왕(인평) 황룡사 9층목탑 (자장,대국통) 분황사 모전석탑(돌로만듬) 첨성대 건립 영료사 의자왕의 공격->대야성 함락(642, 김품석 사망) 당 태종침입(645)<-양만춘 비담,염종의난(647)<-김유신
진덕여왕(태화) 김춘추 대당외교 나당연합 (648)->태평송 바침, 중국식 의관착용, 중국연호수용(650) |
|
|
|
|
고구려멸망(668)vs 문무왕 부흥운동(670~673) 고연무(오골성) + 안승왕자(금마저:익산)+신라지원 검모잠(한성) 보덕국왕(안승왕자, 674) |
백제멸망 (660) 부흥운동(660~663) 복신, 도참(주류성) + 풍왕자 +일본수군지원 흑치상지(임존성)->백강 전투 |
웅진 도독부(공주,660) 계림 도독부(경주, 663) 안동 도호부(평양, 668) ->당의 한반도 지배야욕 |
|
|
|
나당전쟁 시작 (670) 매소성 전투(육군) (675) ->신라가 주도권 기벌포(금강하구) (676) ->신라 승리 (대동강~원산만) |
|||||
|
|
|
|
중대 : 무열왕 - 문무왕 - 신문왕 - 효소왕 - 성덕왕 - 효성왕 - 경덕왕 - 혜공왕 |
||
무열왕(김춘추) 진골, 중대시작 갈문왕제 폐지 |
||||||
문무왕 통일완성 원효, 의상 |
||||||
|
|
고왕 (대조영) 건국(698) 연호 : 천통 (698~719) 국호 : 진국 -> 발해(713) 도읍지 : 동모산 |
|
신문왕 김흠돌 모반 사건(681)을 계기로 일부 진골 숙청 9주 5소경(지방), 9서당 10정 (군사), 달구벌(대구)로 천도 시도 국학 설립(682) : 유교 교육 목적 관료전 지급(687) -> 녹읍 폐지 (689) 만파식적 피리 : 왕실의 안정과 평화 상징 감은사(아버지감사): 감은사지 3층석탑 |
||
효소왕 서시전, 남시전 추가 |
||||||
8C 전반 |
|
발전 8c전반 : 무왕(대무예) 연호 : 인안 (719~737) 당과 대결 : 흑수부 말갈이 당과 연결 시도 ->산둥의 등주 공격 (732, 장문휴) 영토 확장 :북만주 일대 장악 요서 지방에서 당군과 격돌 돌궐 일본과 연결하면서 당과 신라 견제 |
|
성덕왕 정전 지급 (722, for 백성) 백관잠(for 신료) 상원사종 (가장 오래됨) 국학에 공자와 제자의 그림을 그려서 안치함 헌화가 |
||
경덕왕 (문화부흥기) 녹읍 부활 (757, 귀족들이 지랄) 태학감 명칭 (한화정책) 불국사 건립 (김대성 건의) 석굴암 성덕대왕 신종 주조 시작 만불사 제망매가, 도솔가, 찬기파랑가, 안민가(향가) **중기 : 6두품 세력이 왕권 강화에 기여 but 중앙관청의 장관직인 "중시" "령"은 여전히 진골귀족 |
||||||
8c 후반 |
|
8c후반 : 문왕(대흠무) 연호 : 대흥, 보력 (737~793) 성법대왕, 절륜성왕, 황상, ‘천손‘ 당과 친선 신라도 개설 일본 외교 문서 : 스스로 고려국왕 자처 3성 6부제 (중앙), 주자감(교육기관) 중경-> 상경(756) -> 발해국왕 -> 동경 천도 |
|
혜공왕 국학 재명칭 에밀레종 완성 |
||
하대 : 선덕왕 - 원성왕 - 진성여왕 - 경애왕 - 경순왕 |
||||||
선덕왕 |
||||||
9c |
|
9c : 선왕(대인수) 연호 : 건흥 (818~830) 해동성국 : 대부분 말갈족 복속(흑수말갈 포함) 신라와 국경 접함 요동 진출 (넓은 영토 차지) 5경 15부 62주(지방) |
|
원성왕 독서삼품과 |
||
헌덕왕 김헌창의 난(822) ->웅천주도독 (장안, 경운) 김범문의 난(825) 도의가 남종선을 가지고 귀국 (선종 9종산 최초 : 가지산파) |
||||||
흥덕왕 장보고, 청해진 설치 828 사치금지령 |
||||||
|
|
|
|
문성왕 장보고의 난 846 |
||
|
|
진성여왕 9c말 삼대목(향가집, 현존X) 원종애노의 난 최치원 시무10조, 해인사 길상탑, 발해비판적 견훤의난 (호족) -> 무진주에서 봉기(스스로 왕칭) 적고저의 난 |
||||
멸망 (926) : 대인선 ->거란 침입 (야율아보기) |
|
효공왕 (900) 견훤이 완산주에서 건국 |
||||
|
|
|
|
쇠퇴기> 왕위 쟁탈전 : 하대 155년간 20명의 왕이 교체 ex) 궁예 (신라 왕족) : 후 고구려 (901, 송악) 장보고 : 청해진 설치 (828, 완도, 흥덕왕때) 장보고의 난 (846, 문성왕)
지방 귀족의 반란 : ex) 김헌창의 난 (822, 헌덕왕) : 김주원의 아들, 웅천주(공주)도독, 국호= 장안, 연호= 장안 김범문의 난 (825, 헌덕왕 ) : 경기 여주 농민 반란 : 원종 애노의 난 (889, 진성여왕 ) : 상주 개혁시도 : 6두품, 선종 승려 지방 호족의 등장 |
||
|
|
|
<빈공과 합격자> 최치원 : 지증, 진감, 난해, 순목사비 (사대비문) 최언위 : 고려시대 관직진출 최승우 : 견훤 |
'한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5.고대사회 (0) | 2020.10.26 |
---|---|
4. 통일신라 , 발해 (0) | 2020.10.26 |
3.1 삼국시대 (0) | 2020.10.26 |
2. 단군왕검, 부여 (0) | 2020.10.26 |
1. 세계문화유산, 구석기 (0) | 2020.10.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