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사

4. 통일신라 , 발해

728x90

 

 

대외항쟁

 

5c 남북조 시대(분열) <- 광개토가 영토확장

6c : 문제 통일

: 영양왕 때 수의 요서 지방 선제공격

: 문제 침입(태풍으로 실패) -> 양제 침입 <->살수대첩 (612, 을지문덕, 청천강)

618 : 건국

: 대당 강경책 : 천리장성 축조 (연개소문, 부여성~비사성)

642 : 연개소문의 쿠데타 ->영류왕 사망 ->보장왕 추대, 스스로 대막리지에 오름

- 신 대야성 전투 -> : 승리

645 : 태종 침입 <-> 안시성 전투(양만춘)

648 .당 연합 (진덕여왕)

660 백제 멸망 -> :부흥운동(660~663) 복신, 도침(주류성) 흑치상지(임존성) + 풍왕자 + 일본수군의 지원

->백촌강 전투

668 고구려 멸망 -> :부흥운동(670~673) 고연무(오골성), 검모잠(한성)+안승왕자(금마저:익산) +신라지원

670 .당 전쟁 시작 : 당의 한반도 지배 야욕

웅진 도독부(공주660)/ 계림 도독부(경주 663)/ 안동 도호부(평양 668)

전개 : 675, 매소성 전투 (육군) -> 신라가 전쟁의 주도권 장악

676, 기벌포 전투 (수군) : 금강 하구

676 신라 승리 ->삼국 통일(영토 경계선 (대동강~원산만)

 

 

고구려

백제

신라

통일신라

발해

관등,관제

10 관등

16관등

17관등

(중앙-경위제)

11관등

(지방-외위제)

 

 

귀족합의제

제가회의

정사암회의

화백회의

 

정당성

수상

대대로(막리지)

상좌평(내신좌평)

상대등

 

대내상

중앙관제

 

6좌평->22

병부, 위화부,

집사부

집사부 등

13

36

행정

수도

5

5

6

 

 

지방

5(욕살)

성의장(처려근지,도사)

5(방령)

5(군주)

 

15(도독)

62(자사)

특수

3

(평양성, 국내성, 한성)

22담로

(무령왕)

3소경

국원소경=충주

북소경=강릉

아시촌소경=함안

5소경

5

감찰

 

 

사정부

외사정

중정대

군사

 

 

6

9서당 10

10

청소년군대

선비=조의선인

수사

화랑

 

 

 

 

통일신라

 

1. 신라 시대 구분

 

삼국사기 (왕실의 혈통, 골품 기준)

상대 : 성골 (박혁거세 ~ 진덕여왕)

중대 (전성기) : 무열계 직계 진골 (무열왕~ 혜공왕)

하대 (쇠퇴기) : 내물계 방계 진골 (선덕왕~ 경순왕)

 

삼국유사 (왕 명칭 기준)

상고: 고유 왕호 (박혁거세~지증왕)

중고 : 불교식 왕호 (법흥왕~진덕여왕)

하고: 중국식 왕호 (무열왕~ 경순왕)

 

지증왕 : 동시전, 우산국 정벌

문무왕 : 당축출, 신라통일

진흥왕 : 거칠부가 국사 편찬 / 화랑도

 

 

 

중대 : 무열왕 - 문무왕 - 신문왕 - 효소왕 - 성덕왕 - 효성왕 - 경덕왕 - 혜공왕

<전성기 >

신문왕 : 김흠돌 모반 사건(681)을 계기로 일부 진골 숙청

95소경(지방), 9서당 10(군사), 달구벌(대구)로 천도 시도

국학 설립(682) : 유교 교육 목적

관료전 지급(687) -> 녹읍 폐지 (689)

만파식적 피리 : 왕실의 안정과 평화 상징

 

성덕왕 : 정전 지급 (722, for 백성)

경덕왕 : 녹읍 부활 (757, 귀족들이 지랄)

불국사 건립 (김대성 건의)

**중기 : 6두품 세력이 왕권 강화에 기여 but 중앙관청의 장관직인 "중시" ""은 여전히 진골귀족

 

하대 : 선덕왕 - 원성왕 - 진성여왕 - 경애왕 - 경순왕

<쇠퇴기>

왕위 쟁탈전 : 하대 155년간 20명의 왕이 교체

ex) 궁예 (신라 왕족) : 후 고구려 (901, 송악)

장보고 : 청해진 설치 (828, 완도, 흥덕왕때)

장보고의 난 (846, 문성왕)

 

지방 귀족의 반란 : ex) 김헌창의 난 (822, 헌덕왕) : 김주원의 아들, 웅천주(공주)도독, 국호= 장안, 연호= 장안

김범문의 난 (825, 헌덕왕 ) : 경기 여주

농민 반란 : 원종 애노의 난 (889, 진성여왕 ) : 상주

개혁시도 : 6두품, 선종 승려

지방 호족의 등장

 

* 신라의 주요관제

병부(법흥왕) : 군사

예부(진평왕) : 교육, 의례

위화부(진평왕) :인사담당

창부(진덕여왕) : 재정, 회계, 창고

집사부(진덕여왕) : 국가기밀 행정총괄 <- 품주(진흥왕): 재정담당

좌우이방부(진덕여왕,문무왕) : 사법, 치안

공장부, 예작부 (신문왕)

 

발해

<발해 시대순>

 

건국(698) : 고왕 (대조영) 연호 : 천통 (698~719)

국호 : 진국 -> 발해로 변경 (713)

도읍지 : 동모산

발전 8c전반 : 무왕(대무예) 연호 : 인안 (719~737)

당과 대결 : 흑수부 말갈이 당과 연결 시도 ->산둥의 등주 공격 (732, 장문휴)

영토 확장 :북만주 일대 장악

요서 지방에서 당군과 격돌

돌궐 일본과 연결하면서 당과 신라 견제

8c후반 : 문왕(대흠무) 연호 : 대흥 (737~793)

당과 친선

신라도 개설 (신라와 상설 교통)

일본 외교 문서 : 스스로 고려국왕 자처

36부제 (중앙), 주자감(교육기관)

중경-> 상경 천도(756) -> 동경 천도

9c : 선왕(대인수) 연호 : 건흥 (818~830)

해동성국 : 대부분 말갈족 복속(흑수말갈 포함)

신라와 국경 접함

요동 진출 (넓은 영토 차지)

51562(지방)

 

멸망 (926) : 대인선 ->거란 침입 (야율아보기)

 

 

<고구려 계승 증거>

 

대조영 : 고구려인

지배층 : 고구려인 대다수 (말갈인도 일부 존재)

외교 문서 : 문왕이 스스로 고려국왕

멸망 후 유민의 동향 : 대광현과 수많은 주민이 고려에 귀순

문화 :고구려 계승 : 정혜공주묘 = 굴식 돌방무덤의 모줄임천장 구조

불상 =일불병좌상

온돌, 기와(연꽃무늬), 석등

 

 

<통치 기관>

 

중앙 : 36(문왕) - 당나라 모방 but 독자적 운영

정당성 (국정총괄)중심 운영

6부 이원적 운영 (좌사정, 우사정)

명칭의 독자성 (유교사상반영)

 

3: 정당성(대내상), 선조성, 중대성

6: 좌사정 (충부 , 인부, 의부)

우사정 (지부, 예부, 신부)

중정대(감찰) / 문적원(서적관리)/ 주자감(교육기관)

 

지방 : 51562(선왕)

5: 상경, 중경, 서경, 동경, 남경

15(도독), 62(자사), (현승)

촌락 : 말갈족 구성, 수령이라 불리는 촌장을 매개로 지배

 

군사

중앙군 : 10(왕궁과 수도 경비)-> 대장군 장군 지휘

지방군 :농병일치로 지방관이 지휘 (행정과 군사조직의 일원화)

 

<발해 5>

거란도 : 상경 -> 숭령 -> 발해 부여부 ->임황(거란의 수도)

영주도 : 상경 -> 발해 장령부 -> 당 영주->당 장안

조공도 : 상경 ->서경 압록부 -> 황해(바닷길) -> 당 덩저우(산둥반도) ->당 장안

신라도 : 상경 -> 동경 용원부 -> 남경 남해부 -> 동해 -> 신라 서라벌 VS 민간상인은 서경 압록부로 신라도착

일본도 : 상경 -> 동경 용원부 -> 발해 염주성(크라스키노 발해성) -> 동해 -> 일본 후쿠라 항구 -> 일본

 

< 발해 사료 >

제왕운기(이승휴) : 대조영을 고구려 장수로 기록

발해고 (유득공) : 남북국 시대론 제시

해동역사(한치윤) : 발해를 삼국, 고려와 동등하게 서술

아방강역고(정약용) : 발해를 우리 역사로 봄

동사강목(안정복) : 발해를 말갈 역사로 봄

동사(이종휘) : 세가에 기자, 발해, 부여, 가야를 다룸

728x90

'한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고대문화, 불교 원효 의상  (0) 2020.10.26
5.고대사회  (0) 2020.10.26
3.1 삼국시대  (0) 2020.10.26
3. 삼국시대  (0) 2020.10.26
2. 단군왕검, 부여  (0) 2020.10.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