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사

6. 고대문화, 불교 원효 의상

728x90

 

 

 

고구려

백제

신라

통일신라

발해

수도

태학 (소수림왕)

국립 귀족 자제 교육

유교 경전과 역사서

5경박사, 의박사, 역박사

유교경전과 기술학 교육

 

 

국학(신문왕)

태학() (경덕왕)

국학(혜공왕)

평민~대사(12관등)이하

15~30

9년간

예부 소속

주자감(문왕)

왕족 귀족 자제 대상

유교 경전 교육

지방

경당

평양천도 이후

사립, 평민 자제 교육

한학과 무술

 

 

 

 

비고

 

사택지적비(의자왕)

상좌평 사택지적

인생의 무상함 한탄 ->도교

임신서기석

유교 경전 학습

충효 서약

독서삼품과(원성왕)

유교경전의 이해 수준을 시험하여 관리 채용

->진골 귀족의 반발로 실패

->학문 유학 보급에 이바지

 

역사서

<유기> ->

이문진 <신집> 5

(7c 영양왕)

고흥 <서기>

(4c 근초고왕)

거칠부 <국사>

(6c 진흥왕)

김대문(진골)

<산기>

<랑세기>

<림잡전> (신라주체적)

<승전>-승려전기

 

강수(6두품)

-외교문서작성가

<청방인문서>

<답설인귀서>

 

설총(6두품)

-이두정리 한문교육보급

<화왕계> ->신문왕

 

최치원(6두품)

-빈공과 급제

<계원필경> -현존최고문집

<제왕연대력>-신라연대표

<해인사 묘길상탑비>

<4산비문>

<난랑비 서문>

<토황소격문>

 

불교

소수림왕(372)

전진, 순도

 

침류왕(384)

동진, 마라난타

 

겸익(성왕)

: 인도, 산스크리트 율문 번역, 율종의 시조

 

노리사치계(성왕)

: 일본에 불상, 경론 전파

 

혜총(위덕왕)

: 일본의 쇼토쿠 태자의 스승

 

관륵(무왕)

: 일본에 천문 지리 역서를 전파

눌지왕

묵호자

법흥왕(527)

이차돈 순교로 공인

 

진흥왕

혜량 : 국통

 

진평왕

원광 <세속오계>

 

선덕여왕

자장 : 황룡사 9층 목탑

 

원효 : 일심사상, 아미타신앙, 내세구복

 

의상 : 화엄사상, 관음신앙, 현세구복

 

원측 : 당유학, 유식불교, <해심밀경소>

 

혜초 : 인도 <왕오천축국전>

 

진표 : 법상종 개창, 미륵신앙 (백제유민호응)

 

김교각 :성덕왕 아들, , 지장보살, 구화산에서 화엄경 설파

 

 

 

정혜,정효공주 묘지명

"대흥 보력 효감 금륜성법대왕"

 

문왕=전륜성왕

(불교적 성왕)

선종

 

 

 

도의

:참선(좌선)수행

실천적

마음속 깨달음 중시

호족세력과 결탁

반신라적

 

도교

강서고분 사신도

연개소문의 장려

을지문덕 5언시

산수무늬 벽돌

금동대향로

무령왕릉 지석

화랑도

국선도

풍월도

풍류도

최치원<4산비문>

-,,선 모두 반영

정혜, 정효공주 묘지의

불로장생 사상

천문학

천문도 (태조)

 

 

첨성대(선덕여왕)

 

고분

돌무지무덤

태왕릉(벽화x)

장군총(벽화x)

 

굴식돌방무덤

(도굴o, 합장)

생활화 :

각저총"씨름도"

무용총"무용도"

"수렵도"

추상화:

강서대묘"사신도"

국내성의 오회분

"달의신, 해의신"

"사신도"

"별자리 그림"

 

쌍영총

안악 3호분

계단식 돌무지무덤(한성)

-서울 석촌동 고분

 

벽돌무덤(웅진)

-송산리 고분군

6호분: "사신도, 일월도"

7호분: 벽화x

무령왕+왕비 합장릉

금제관 출토

석수(돌짐승)

오수전(양나라화폐)

영동대장군 백제사마왕

(양나라 작호)

남조() 영향

일본산 금송

 

벽화O : 6, 1

벽화X : 7

굴식돌방무덤(사비)

-능산리 고분군 "사신도"

돌무지덧널무덤

(도굴x, 단장)

(벽화x)

천마총 "천마도"

호우총

서봉총

 

불교식 화장

-문무왕릉

 

굴식돌방무덤

 

둘레돌 12지 신상

-김유신묘,괘릉(원성왕릉)

굴식돌방무덤

-정혜공주묘

-모줄임천장

(고구려식)

-돌사자상

 

벽돌무덤

-정효공주묘

"12명의 인물도"

(당나라식)

불상

금동 연가 7명 여래 입상

서산 마애 삼존불

경주 배동 석조여래 삼존 입상

석굴암 본존불, 보살상

철제 석가여래 좌상

(비로자나불상)

이불병좌상

(고구려영향)

음악

왕산악 (거문고)

 

백결 선생 (방아타령)

삼대목 (진성여왕)

 

비고

*금속

제철 기술 발달

고분벽화에 철단련 수레바퀴 제작 그림

*금속

칠지도

금동 대향로

 

*금속

금관 세공 기술

 

*서예

김생 :질박, 굳센 독자적 서체

 

*그림

천마도(힘찬화풍)

솔거(황룡사 소나무그림)

*금속

성덕대왕 신종(에밀레종)

아연함유 청동

 

*공예

법주사 쌍사자 석등

상원사 동종

(성덕왕,현존최고)

성덕대왕 신종

(경덕왕~혜공왕,에밀레종,

아름다운 비천상)

 

무구정광대다라니경

(현존 최고 목판인쇄술)

두루마리 불경, 닥나무 소재

 

*비교

직지심체요절 (금속인쇄술)

*공예

자기공예

가볍고 광택 종류 크기 모양 색깔이 다양

 

벽돌기와

고구려 영향, 소박

ex)연꽃무늬 기와

일본전파

 

영양왕

담징 :

종이 먹 제조방법

호류사 금당 벽화

혜자 :

쇼토쿠태자의 스승

 

영류왕

혜관 :

삼론종 불교전파

 

다카마쓰 고분벽화 = 강서 수산리 고분벽화 유사

근초고왕

아직기: 일태자의 스승 한자 티칭

왕인 : 천자문 논어 전수

 

무령왕

단양이,고안무 :유교경전티칭

 

성왕

겸익: 최초인도기행 후 계율소개 (백제율종의 시조)

노리사치계: 일본 최초 불교전파, 불상 불경 전달

 

무왕 (7c)

관륵, 미마지

왕흥사, 미륵사

 

의자왕

 

위덕왕

아좌태자:

쇼토쿠 태자의 스승

그림 전수, 초상화

 

고류사 미륵보살 반가 사유상

호류사(백제) 관음상

백제가람(사원) 건축 양식 생겨남

백제 기술자들 건너감

조선술

축제술

"한인의 연못"

하쿠호 문화 형성

원효 강수 설총 등의

불교 유교 전파

 

심상(의상의 제자):

의상의 화엄사상 전파

*삼국:아스카문화

*통신:하쿠호문화

*가야:스에키토기

서역

각저총: 서역인

서역 아프라 시아브 궁전 벽화

고구려인

 

유리그릇

금제장식보검

울산항

괘릉:무인상(서역인)

 

 

 

불교

원효 (교종)

의상 (교종)

무열왕, 문무왕

문무왕, 신문왕

6두품, 도당유학 X , 설총아빠, 무애가, 소성거사

진골, 도당 유학 O , 지엄의 제자

아미타 신앙

: 누구나 나무아미타불 극락정토 간다 (정토신앙)

관음 신앙

: 관세음보살 신봉, 현세 구복

일심(화쟁) 사상

: 모든것은 한마음에서 나옴

불교종파 간의 조화, 분파 극복

화엄 (원융) 사상

: 모든만물은 상호의존 , 조화를 이룸

일즉다 다즉일

전제왕권 강화

십문화쟁론

금강삼매경론

대승기신론소

화엄경소

화엄일승법계도 (210개그림글씨)

법성종

화엄종

분황사(경주)

부석사(영주)

 

728x90

'한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7. 고려  (0) 2020.10.26
5.고대사회  (0) 2020.10.26
4. 통일신라 , 발해  (0) 2020.10.26
3.1 삼국시대  (0) 2020.10.26
3. 삼국시대  (0) 2020.10.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