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
특징 |
귀족통제 |
백성 |
군사 |
교육 |
전시과 |
태조 왕건 |
건국(918) 연호 : 천수 철원->송악천도(919)
<훈요 10조> |
호족회유: 결혼정치, 사심관제도(지방발령) 기인제도(자식인질) (vs신라 상수리제도) 사성(성씨하사) |
조세 1/10 감면 흑창 설치 (vs 성종 : 의창) |
중 5대와 외교 북진정책: 서경(평양)중시 만부교사건(낙타) 영토확장:청천강~영흥 |
<정계> <계료백서> (관리가 지켜야할)
|
역분전 (공신, 공로기준) |
정종 |
|
|
|
광군 설치(30만 양성) ->거란 침입 대비 |
|
|
광종 |
칭제건원 : 황제 호칭 연호 : 광덕, 준풍(독자적), 건덕(송과친교후) (개경=황도) *왕권강화
쌍기가 후주에서 건너오며 친송정책 |
노비안검법(956) :왕권강화 과거 제도(958) :쌍기 건의 (최조 지공거) 주현공부법 :지방에 세금 징수 |
제위보(963) :빈민 구제 |
권신들(왕동) 숙청 |
귀법사 (규연스님) |
공복제정 (자단비녹) |
경종 |
|
|
|
|
|
시정 전시과(976) (관등 +인품) |
성종 |
최승로 <시무 28조>수용 <5조 정적평>
2성 6부, 중추원, 삼사, 도병마사, 식목도감 설치, 건원중보 |
12목 지방관 파견(최초) ->10도 노비환천법 (무례한놈다시노비) 문신월과법 :관료 실력 향상 목적 과거제 정비 |
의창 (전국, 춘대추납) 상평창 (물가조절기관) |
* 원인 : 친송북진 [거란 1차침입] : 소손녕 80만 <-> 서희 강동 6주 확보 |
지방(향학)에 경학박사 의박사 파견 국자감, 향교 비서성 개경 수서원 서경 연등회,팔관회 폐지 (진흥왕때 시작) |
향리제도마련 (호장,부호장) |
고려 중기 (11~12c) |
||||||
목종 |
|
강조의 정변(1009) 목종폐위 현종즉위 |
|
|
|
개정 전시과 (오직 관등만) 문과, 전시, 직관 군인전, 한인과 |
현종 |
나주피난 주현공거법 :향리자제과거시험 |
지방 제도 정비 : 5도 양계 4도호부 8목 5도 : 일반행정, 안찰사 파견(임시 6개월) 양계 : 군사행성, 병마사 설치(국방상 요충지 |
|
[거란 침입] 2차 : 성종40만<-> 나주피난->흥화진 전투(양규) 3차 : 소배압10만<->귀주대첩(강감찬) 나성 축조(개경) 천리장성 : 압록강~ 도련포 |
7대실록 편찬 초조대장경 간행
현화사 건립(개성) 연등회 팔관회 부활 |
향리 정원제
향리 공복제 실시 |
문종 |
경동나비엔남대문기사
한양을 남경으로 기인선상제(인질x)
|
|
동서대비원(개경) : 국립 의료기관 진료및 구휼 |
|
사학 발전 : 최충(해동공자)의 문헌공도 흥왕사 건립(아들 의천) 국청사 |
경정 전시과 (오직 현직만 수조권) 산관X, 직관O 무반대우 |
숙종 |
화폐발행 (삼한, 해동 동국통보 활구) ->주전도감 설치 남경개창도감 김위재 |
|
|
[여진(금) 침입] 윤관의별무반조직 신기군(기병) 신보군(보병) 항마군(승병) |
관학 진흥책 :국자감에 서적포 설치
의천 (주전도감, 천태종, 속장경, 대각국사) |
|
예종 |
예 7재양 감좋은 종 재 현 무
보청기 구혜도 문연 제민관 각각 도국 감 |
|
|
윤관의 동북9성 축조 ->1년뒤 반환 |
최초로 도관(복원궁)건립 관학진흥책 7재(전문강좌) 보문각(학문 연구소) 청연각 양현고(장학재단) |
도이장가 |
인종 |
|
이자겸의 난(1126)->인수절, 굴비 묘청의 난(1135) -서경길지설, 풍수지리 대화궁, 대위, 천개, 천견충의군, 고구려계승 |
|
이자겸의 사대수락(1125) |
김부식의 <삼국사기> (현존최고 역사서, 1145) 경사 6학(서긍의 고려도경 사료), 향교 정비 |
상정고금예문 (최윤의가 저술, 최우때 반포) |
의종 |
|
무신정변 정중부 중방 (1170) : 김조교망 경대승 도방 (1179) : 전주관노 이의민 중방 (1183) :김사미 효심(신라부흥) |
김보당: 동북면 병마사 교종승려의 난 조위총의 난(서경유수) 망이망소이난: 공주명학소->충순현 승격
|
|
김부식 아들 김돈중이 정중부 수염 태움 |
|
명종 |
최충헌 <봉사 10조 개혁안> 제시 |
최충헌 (1196) 도방 교정도감설치(최고정치)
|
이의민 참수 만적의난:개경, 사노비 이비패자의난 최광수 |
|
이규보 <동명왕편> |
|
고종 |
강화도 천도(도망) , 주민은 산성과 섬으로 피난 |
최우 (1219) 정방(인사담당) 서방(문신등용) 삼별초(사병) -좌,우별초 -신의군(포로) 마별초(기병대)
|
이연년의난 (1237) (백제부흥, 담양, 백제도원수) |
강동성의 역(1219) : 김취려 +몽골,동진국=거란 격퇴
몽골사신 저고여 피살(1225) [몽골 1차 침입](1231) 살리타<->박서 항전(귀주성) 강화도 천도 (1232) [몽골 2차 침입](1232) 김윤후 활약, 처인부곡, 살리타 사살
쌍성총관부 설치(1258) |
이규보 <동국이상국집> |
|
원종 |
개경 환도 전민변정도감 최초설치 |
|
|
[몽골 6차 침입](1254) 충주 다인철소 저항 ->개경 환도(1270) 삼별초 항쟁(1270~73) (강화도- 진도- 제주도 장군 배중손->김통정) |
문화재 소실 초조대장경 (1232) 교장 황룡사 9층 목탑 |
|
고려후기 (13~14c) |
||||||
충렬왕 |
원간섭기 시작 칭호격하 |
권문세족 등장 도병마사->도평의사사 정방(인사권)장악
|
|
일본정벌에 동원 정동행성 설치 (승상에 임명)
다루가치(원사신 파견감시) 충렬왕 4년에 폐지 |
관학 진흥책 국학(국자감) ->성균감 공자사당 문묘 건립
섬학전(장학재단)설치 |
|
충선왕 |
정방 폐지, 사림원 설치 조비무고사건으로 개혁 중단 복위교서 :재상지종 (결혼가문) |
각염법 제정 의염창 설치 소금전매제 실시 |
충숙왕에게 양위 원나라에 만권당 설치 ->원나라학자와교류
원의 수시력 수입 |
|
|
|
충숙왕 |
찰리변위도감 설치 (개혁시도) |
|
|
|
|
|
충혜왕 |
편민조례추변도감 설치 소헌병(화폐) |
기황후 등극 |
|
|
|
|
충목왕 |
응방 혁파 정치도감(국가재정확대) 설치 정방 폐지 |
|
|
|
경천사지 10층 석탑 |
|
공민왕 (원명교체기) |
반원 자주 정책 개혁 실패 권문세족 반발 신진 사대부 세력 미약 공민왕 시해 |
1단계 기철숙청 정동행성 이문소 폐지 관제 복구 몽골풍일소 정방폐지
3단계 신돈 등용-> 전민변정도감 설치 (권문세족의 토지와 노비 몰수) 성균관정비(유교교육, 신진사대부등장: 이색 정몽주, 정도전) |
명의 대통력 수입 첨설직 : 군공포상, 명예직 |
2단계 쌍성총관부 수복(철령위) (유인우+이자춘 장군)
[홍건적의 침입] 1차:이방실, 이승경 (1359) 2차:정세운,이성계 (1361) ->복주(안동) 피난
4단계 요동정벌 ->이성계 + 지용수의 동녕부(요동의 요양 지방)공격 |
|
|
우왕 |
이인임 일족 집권 (친원파, 권문세족)
|
이인임 일파 숙청 ->최영(우왕의 장인) + 이성계 집권
|
명의 철령위 설치요구 ->요동정벌(최영+우왕) ->위화도 회군(1388) 폐가입진 명목으로 이성계가 우왕 제거 |
[왜구 침입] 홍산대첩:최영(1376논산) -> 화통도감설치(1377) 진포대첩:최무선,나세 (최초화포사용,1380) 황산대첩:이성계(진포땅 관음포 대첩 :정지(1383) |
*황산대첩비 :조선선조때 건립 일제가 훼손 직지심체요절(백운화상, 제자, in프랑스, 청주 흥덕사) |
|
창왕 |
|
|
|
쓰시마섬정벌:박위(1389) |
|
|
공양왕 |
저화 발행->유통x 무과실시 |
삼군도총부(1391) ->의흥삼군부(조선) |
|
|
|
과전법 실시 |
훈요 10조 |
시무28조 |
봉사 10조 |
불교진흥 사원남설금지(풍수지리) 장자계승 거란풍속배격(북진정책) 서경중시 연등회 팔관회 거행(불교) 상벌중시(체제) 차령이남 출신 견제(호족견제=후백제인) 일정한 녹봉, 무인등용 경전과 역사서 독서(왕권강화 |
불교를 믿는것은 자신을 다스리는 근본 유교를 행하는것은 나라를 다스리는 근원 자신을 다스리는 것은 내세의 복 나라를 다스리는 것은 오늘의 급한것
불교비판, 유교추대, 궁궐사치반대(왕권전제화반대), 연등회팔관회 축소, 중과 사무역 금지, 신라제도참고(독자적X) |
|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광고클릭을 부탁드려요
당신의 성공적인 합격을 기원합니다"
'한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고대문화, 불교 원효 의상 (0) | 2020.10.26 |
---|---|
5.고대사회 (0) | 2020.10.26 |
4. 통일신라 , 발해 (0) | 2020.10.26 |
3.1 삼국시대 (0) | 2020.10.26 |
3. 삼국시대 (0) | 2020.10.26 |